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69)
미국 사정 (22)
세계의 창 (25)
잡동사니 (26)
과일나무 (285)
배나무 (1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자기통제'에 해당되는 글 2건
2023. 12. 12. 20:06

김주환. 2023. 내면소통: 삶의 변화를 가져오는 마음근력 훈련. 인플루엔셜. 713쪽.

저자는 커뮤니케이션학을 전공한 학자이며, 이 책은 크게 두부분을 나누어진다. 첫째는 뇌과학의 연구결과 소개이며, 둘째는 명상의 효용과 실천방법을 설명하는 것이다. 저자는 명상의 효용이 뇌과학의 연구 성과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뇌의 능력을 인지적 능력과 비인지적 능력으로 구분할 때, 어떤 일을 성취하기 위해서건 인지적 능력 못지 않게 비인지적 능력이 중요하다. 비인지적 능력은 자기 통제력, 대인관계 통제력, 동기부여의 세개로 구성된다. 학습을 통해 인지적 능력을 향상하듯이, 비인지적 능력 역시 훈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다. 저자는 명상이 그 방법이라고 역설한다. 

인간의 자아는 외부로부터의 감각 뿐만 아니라 내부로부터 오는 감각을 처리한다. 이러한 감각이 쌓여서 이야기로 만들어진 것이 바로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자아라고 지칭하는 '기억자아'이다. 한편 순간순간 발생하는 내외부로부터의 감각과 정보를 처리하는 자아는 '실천자아'이다. 이러한 정보를 처리하려면 이러한 작업의 준거를 제공하는 배경이 필요한데, 이를 '배경자아'라 한다. 배경 자아는 의식 수준에 떠오르지 않지만, 항시 그때그때의 정보와 감각에 의미를 부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명상은 이 배경자아를 살피는 작업이다.

자신의 내부 감각을 스스로 거리를 두고 관조하는 훈련, 즉 자세를 바로하고 앉아, 호흡을 통제하면서, 의식의 집착을 멈추고 자신을 성찰하는 방식으로 명상을 하면, 앞에 언급한 비인지적 능력이 향상된다. 불교의 명상, 인도의 요가, 태극권 등은 방법만 약간씩 다를 뿐, 모두 동일한 원리에 따르는 것이다. 자신의 내부의 감정을 관조하는 가운데, 자기 자신과 외부에 대한 통제력이 생기며, 자신의 감정의 굴곡이나 외부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날 수 있다.

저자는 자신의 연구 성과를 명상 실천에 적용하여 큰 성공을 거둔 듯하다. 그는 유튜브로 자신의 이론을 설파하여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그의 유튜브를 보면, 저자는 확신에 차있으며, 이렇게 좋은 것, 이렇게 분명한 것을 보다 많은 사람이 누리도록 힘쓰는 사명감에 불타는 듯하다.  그러나 이 책 자체는 산만하고 반복이 많아 읽기 매우 어렵다. 여러 유명한 사람들이 그의 책을 추천하고 있는데, 그들이 과연 책을 읽고 추천한 것인지 의심스럽다. 솔직히 나는 그의 설법에 별반 감동되지 않았다. 자기 확신에 찬 사람의 말을 믿지 않는 삐딱한 성향의 나에게 문제가 있는 것인지, 혹은 그의 설득력에 문제가 있는 것인지. 어떻든 저자가 많은 연구와 실천을 축적한 사람임은 분명하다. 그의 뇌과학 지식은 꽤 깊이가 있다.

'과일나무 > 체리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치학 개론  (0) 2024.01.04
인간의 감정이란 무엇인가  (0) 2023.12.20
심리학 개론  (0) 2023.12.07
인체의 구조와 원리  (0) 2023.12.06
인간 남녀는 왜 다르게 행동하는가  (0) 2023.11.22
2021. 11. 19. 11:12

Daniel Nettle. 2007. Personality: What makes you the way you are. Oxford University Press. 248 pages.

저자는 심리학자이며, 이 책은 인간의 성격을 5개의 독립된 차원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외향성(extraversion), 신경증적 특성(Neuroticism), 자기통제성(Conscientiousness), 타인친화성(Agreeableness), 개방성(Openness)이 그것이다. 이 다섯개의 차원은 가장 강한 정도에서 가장 약한 정도까지 연속적인 척도를 구성한다. 사람들은 다섯개 차원 각각의 연속선 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해 있다. 

첫번째, 외향성(Extraversion)은 보상에 대한 반응에 민감한 정도이다. 외향성이 높은 사람은 보상을 가져오는 활동을 적극적으로 추구한다. 이들은 모험추구적이며, 호기심이 많으며, 사교적이며, 성적으로 적극적이며, 성공지향적이다. 이들은 신체적 위험에 빠지거나 가족관계가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크다. 반면 외향성이 낮은, 즉 내향적인 사람은, 신중하고, 침착하고, 자족적이며, 타인과 조정하는 것을 어려워 한다. 변화가 심하고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는 외향적인 사람이 생존에 유리한 반면, 안정되고 풍요한 환경에서는 내향적인 사람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

두번째, 신경증적 특성(Neuroticism)은 위협에 민감한 정도이다. 신경증적인 사람은 외부의 위협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항시 경계하고, 비관적이고, 초조해하며, 쉽게 우울에 빠지는 반면, 덜 신경증적인 사람은 외부의 위협에 대범하고 느긋하며, 낙관적이다. 포식자가 우글거리는 환경에서는 신경증적 성향이 강한 사람이 생존에 유리한 반면, 포식자가 드문 환경에서는 신경증적 성향이 약한 사람이 생존에 유리하다. 

세번째, 자기통제성(Conscientiousness)은 욕구를 절제하는 능력이다. 자기통제력이 강한 사람은 계획을 하고, 충동을 억제하는데 능하지만, 지나치게 엄격한 규율을 고집하거나, 자발적인 주도성이 약하다. 자기통제력이 강한 사람은 대체로 전문직이나 사회적으로 성공한 사람들에게서 많다. 반면 자기통제력이 약한 사람은 충동적이며, 삶이 엉클어져있고, 술이나 도박 등에 탐닉하여 헤어나오지 못한다. 안정된 환경에서는 자기통제력이 강한 사람이 생존에 유리하지만, 변화가 무쌍한 환경에서는 계획이나 규율을 고집하기보다 임기응변에 능한 사람이 생존에 유리하다.

네번째, 타인친화성 (Agreeableness)은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읽고 배려하는 능력이다. 타인친화성이 높은 사람은 주위 사람들과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반면, 이것이 지나칠 경우 자신의 이익을 소홀히 하고 지위경쟁에서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 타인 친화성이 낮은 사람은 타인이 어떻게 생각하고 느끼는지에 무관심하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냉정한 계산에 따라 태연이 타인을 이용한다. 사이코패스는 타인친화성이 낮은 극단적 예이다. 대체로 여성은 남성보다 타인친화성이 높다. 타인친화성이 높은 사람이 다수인 환경에서는 타인친화성이 낮은 즉 타인을 배려하지 않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타인친화성이 낮은 소수의 사람들이 생존에 더 유리한 반면, 반대의 환경, 즉 타인친화성이 낮은 사람이 다수인 환경에서는 타인친화성이 높은 소수의 사람들이 생존에 더 유리하다. 

다섯번째, 개방성(Openness)은 정신적인 연상(mental association)의 폭이 넓은 정도이다. 개방성이 높은 사람은 창의적이고 다양한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데 능하며, 예술적 민감성이 크다. 그러나 이들은 비현실적 믿음이나 비실용적 생각에 빠질 위험이 높으며, 극단적으로는 정신병에 걸릴 수 있다. 창의성과 정신병은 동전의 양면이다. 개방성이 낮은 사람은 실용적이고, 현실적이며,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기보다 관례를 따르는 것을 선호한다. 안정된 환경에서는 개방성이 낮은 사람이 생존에 유리하나, 변화무쌍한 환경에서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만들어 내는 개방성이 높은 사람이 생존에 유리하다.

인간의 성격 특성은 태생적인 것이다. 근본적인 성격 특성은 바꿀 수는 없다. 그러나 성격 특성이 현실의 삶에서 어떻게 발현되는가는 사람에 따라 다르다. 성장 환경에 따라, 주변 상황에 따라, 우연적인 요소 때문에, 동일한 성격 특성의 사람도 다른 시나리오의 삶을 살게 된다. 그러나 아무리 구체적 삶의 내용이 다르다고 해도, 그 밑바닥을 흐르는 성향은 변하지 않는다. 

사람들의 성격 특성은 각 차원마다 정규분포 곡선을 그린다.  각 성격 특성 차원에서 중간 정도의 사람들이 많지만, 시대, 지역, 집단에 따라 다수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기도 한다. 인간의 성격특성이 정규분포 곡선을 그리는 이유는, 진화의 과정에서 각 성격 특성 차원에서 다양한 강도의 사람들이 나름대로 생존에 유리한 다양한 상황이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어느 성격 특성의 조합이 다른 성격 특성의 조합보다 절대적으로 좋다고 말할 수 없다. 각 성격특성 차원의 양 극단은 장점도 있지만 약점도 동시에 내포한다. 환경에 따라 성격특성 차원에서 어느 정도가 적당한지가 결정된다.

이 책은 심리학의 성격특성 이론을 이해하기 쉽게 잘 설명한다. 다섯개의 성격특성 차원과 이를 진화론과 연결시켜 설명하는 것이 흥미롭다. 저자는 모든 성격특성이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특정 성격특성이 더 낫다고 할 수 없다고 주장하는데 설득력이 떨어진다. 예컨대 자기통제성은, 극단적인 계획 집착이 아닌한,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데 매우 필요한 특성이다. 이책을 읽으면서 나의 성격을 되돌아보는 좋은 시간이었다. 자신의 성격 특성의 장점을 잘 발휘하도록 노력하라는 저자의 조언이 기억에 남는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