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369)
미국 사정 (22)
세계의 창 (25)
잡동사니 (26)
과일나무 (285)
배나무 (10)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Krueger'에 해당되는 글 2건
2022. 2. 2. 20:51

Alan Krueger. 2007. What Makes a Terrorist: Economics and the Roots of Terrorism. Princeton University Press. 175 pages.

저자는 저명한 경제학자이며, 이 책은 "어떤 사람이 왜 테러리스트가 되는가" 라는 질문에 대해, 경험 데이터를 이용하여 경제학적 분석을 시도한다.

일반적으로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사람이 삶의 다른 수단이 막혀서 테러리스트가 된다고 생각하는데,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테러리스트는 그 나라 사람들의 평균보다 교육 수준이나 소득 수준이 훨씬 높은 사람들로 밝혀졌다. 테러리즘이란 이념적 정치적 불만을 폭력적 행위를 통해 표출하는 것이다. 가난한 사람은 먹고살기에 허덕이기 때문에 이념적 정치적 불만에 신경쓸 여유가 없다. 반면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은 지정학적 문제나 돌아가는 상황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자기 나름대로 판단할 능력이 있다. 테러리즘은 투표 행위와 유사하다. 교육 받은 사람들은 자신의 행위가 유효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투표를 한다. 테러리즘 역시 투입하는 노력에 대비한 결과를 생각할 때 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에 참여하는 것이다. 테러리즘은 매우 계산적 합리적 행위이다. 상대에 대해 전면적으로 폭력을 사용하여 전쟁을 벌일 능력이 없는 힘이 크게 불균형한 관계에서, 약자가 강자에게 자신의 의지를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행위가 테러이다.

테러리스트는 대체로 시민의 권리와 민주주의를 보장하지 않는 나라에서 나온다. 표현의 자유, 결사의 자유를 보장하며 국민의 의견을 존중하는 나라에서는 국민이 자신의 이념적 정치적 불만을 제도권 내에서 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권위주의 국가에서는 이러한 통로가 막혀 있으므로 제도권 밖의 폭력적 수단에 의지해 자신의 목소리를 드러낸다.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국제적 테러의 경우, 테러의 대상은 거의 대부분 정치적 민주주의가 확립된 나라들이다. 테러를 통해서 국민의 여론을 들끓게 하는 효과를 노리기 때문에, 언론의 자유가 보장되고 정부가 국민의 여론에 민감한 민주주의 국가에서 테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국제적 테러리스트를 배출하는 나라 역시 상대적으로 가난하지 않다. 예컨대 국제적 테러리스트를 가장 많이 배출하는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소득 수준은 높으나 국민을 억압하는 권위주의 국가이다. 국민의 소득 수준과 테러리스트 배출은 상관관계가 없다. 

테러는 얼마나 성과가 있을까? 장기적으로 볼 때 경제적 효과는 크지 않으며, 심리적 효과 역시 테러가 발생한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빠르게 소멸된다. 정치적 영향은 조금 복잡하다. 선거 직전에 테러가 발생하면, 우파와 극단주의의 지지도가 높아진다. 미국에서 2001년 9.11 테러 이후 부시 대통령은 국민의 인권을 제한하는 조치를 취하였으며, 외국인과 이민자를 배척하는 분위기를 조성하면서 민주주의가 후퇴하였다.

테러는 테러리스트의 입장에서 볼 때 투자한 비용에 대비해 성과가 큰 전술이다. 테러리즘을 예방하기 위해서, 교육 수준을 높이고 빈곤을 없애려고 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그보다는 시민의 권리를 높이고, 이념적 정치적 불만이 평화적으로 표출될 수 있도록 출구를 만들어 주어야 한다.

저자는 테러리즘이 빈곤의 소산이 아니라는 사실을 경험적 데이터로 입증함으로서, 기존의 상식을 뒤집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이 완전히 옳지는 않다. 개인의 수준에서 보면 테러리스트는 그 사회에서 상대적으로 교육 수준이 높은 사람이기 때문에, 테러리스트는 빈곤의 소산은 아니다. 그러나 사회의 수준에서 보면 불평등도가 높고 국민들이 가난할수록 시민의 권리 보장이나 민주주의가 뿌리내리기 어렵고 권위주의 정치가 지배하기 때문에, 테러리즘은 근본적으로 빈곤과 불평등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저자도 이러한 점을 책의 후반부에서 인정하고 있다. 이 책은 교양서라기보다는 학술서에 가깝다. 이 책은 경험 데이터에 근거한 엄밀한 분석을 통해 사람들이 막연하게 가지고 있던 상식이 틀렸음을 밝힌 흥미로운 예이다. 

 

2021. 10. 8. 16:03

Alan Krueger. 2019. Rockonomics: A Backstage tour of what the music industry can teach us about economics and life. Currency. 269 pages.

저자는 유명한 경제학자이며, 이 책은 대중음악 산업을 경제학적 시각에서 분석한 연구 성과물이다. 음악산업은 1990년대에 디지털화되고, 2000년대에 스트리밍 방식이 음악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매김하면서 혁명적 변화를 겪고 있다. 

디지털화된 음악은 다음의 세가지 이유 때문에 승자독식의 시장(winner-takes-it-all market)을 형성한다. 첫째, 사용자가 늘어도 추가 비용이 소요되지 않는 확장성(scaleablity), 개별 음악가와 음악은 서로 대체할 수 없는 고유의 가치를 지닌다는 사실(uniqueness), 음악의 소비는 네트워크 효과(network effect)를 따라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사람들은 사회적 연결망 속에서 음악을 소비한다. 남들이 좋아하는 음악을 나도 좋아하며, 내가 좋아하는 음악을 남들에게 추천한다. 사람들이 특정 음악에 선호를 형성하는 방식은, 그와 유사한 것을 많이 접할수록 좋아하는 감정이 커지는 편향성을 띤다. 특정 가수나 특정 곡의 인기가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우연이거나 사소한 원인 때문에 특정 음악에 대해 처음에 소수의 사람들의 선호가 쌓이기 시작하면, 뒤이어 눈덩이처럼 사람들이 몰리는 현상(bandwagon effect)이 발생하면서 인기가 높아진다. 성공한 가수나 음악 관계자들은 한결같이 자신의 성공이 사소한 우연에서 비롯된 것이며, 자신과 비슷한 역량의 다른 가수나 곡들이 뜨지 못한 경우가 무수히 많다고 고백한다. 음악 소비자들의 취향은 변덕이 심하기 때문에 어떤 가수의 어떤 곡이 뜰지 미리 예측할 수 없다. 따라서 음악 종사자들은 매우 큰 스트레스를 지고 살아가게 된다.   

인터넷 덕분에 소수의 사람들만이 좋아할 틈새 상품도 빛을 볼 수 있으므로, 소수의 음악에 인기가 편중되는 현상이 완화되리라는 예측은 틀렸다. 인터넷이 도입되고, 스포티파이(Spotify)나 애플뮤직과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가 소비자들에게 모든 곡들에 대한 접근성을 높였음에도, 사람들의 선호는 소수의 곡에만 집중되어 있다. 최상위의 곡이 사람들이 듣는 노래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는 음악 소비가 음악 자체의 본질적 가치를 반영하기보다는, 지극히 사회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1999년에 냅스터가 사람들간에 음악 파일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면서 불법 음악 복제 행위가 크게 확대되었다. 그 결과 1999년을 고비로 하여 그 이후 음악 산업 전체의 수입은 크게 쪼그라들었다. 그러나 스트리밍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사람들이 시간과 수고를 들여 음악을 불법 복제하기보다, 매월 약간의 돈을 내고 서비스를 구독하면 자신이 원하는 음악을 무제한으로 편리하게 즐길 수 있게 되면서 불법 복제는 크게 줄어들었으며 음악 산업 전체의 수입도 다시 증가하기 시작했다. 앞으로 스트리밍 서비스의 보급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며, 음악 산업의 수입도 따라서 증가할 것이다.  

사람들이 음악을 통해 누리는 효용에 비해 음악 산업이 거두는 수입은 매우 작다. 사람들은 차를 타고 이동하거나, 집안일을 하거나, 파티에 참여하거나, 식사나 운동을 하거나, 등 다른 일을 하면서 배경으로 매일 몇시간씩 음악을 듣는다. 그러나 사람들이 음악을 듣기위해 지불하는 돈은 미미하다. 그 결과 대다수의 음악가들은 생계비를 버는 것도 힘겨워 한다. 대부분의 음악인들은 음악을 하는 것 자체가 즐겁기 때문에 음악을 하는 것이지, 돈을 버는 목적은 부수적이다. 음악가를 지망하는 사람은 매우 많고, 매년 엄청나게 많은 수의 음악이 시장에 쏟아져 나오기 때문에 음악으로 돈을 버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소수의 스타를 제외하고 음악을 하여 거두는 수입은 미미하다. 많은 무명의 음악가들은 행사에 뛰고, 음악 레슨을 하고, 다른 직업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돈이 벌리지 않음에도 본인이 좋아서 음악을 한다.  

음악계의 스타의 수입도 다른 분야에서 성공한 사람의 소득과 비교하면 현저히 작다. 사람들은 대부분 녹음된 음악을 공짜에 가깝게 듣기 때문에, 인기 음악가들도 자신의 음반으로부터 거두는 수입은 매우 작다. 거의 모든 스타들은 현장 콘서트를 통해 거두는 수입에 주로 의존한다. 음반 판매나 방송국에서 자신의 음악을 방송하는 것은 자신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기여하며, 이러한 인지도를 이용하여 현장 콘서트에 팬들을 모아 돈을 버는 것이다. 그러나 현장 콘서트에 상당한 수의 팬을 동원할 수 있는 스타는 많지 않으므로, 대부분의 음악가들은 수입이 미미할 수 밖에 없다. 

저자는 앞으로 스트리밍 서비스가 확대되면 음악가의 사정이 조금은 나아질 것으로 예상한다. 지금은 스트리밍 산업의 초기 단계이므로 앞으로 어떻게 발전할지는 확실치 않다. 영화와 음악을 함께 묶어 스트리밍을 제공하는 서비스가 나타날 수 있다. 아마존이나 애플과 같이 다른 본업에 도움을 주는 역할로서 음악 스트리밍이 계속 기능할 수도 있다. 일단 음악을 제작하면 복제하는데 거의 비용이 들지 않고, 음악 산업 자체의 재정 규모가 크지 않은 반면, 음악이 사람들의 일상과 심리에 미치는 영향은 지대하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음악을 덧붙이는 다양한 방식이 출현하리라 예상한다. 여하간, 현재 음악은 사람들이 누리는 효용에 비하여 비용을 거의 지불하지 않으면서 많은 시간을 즐기므로, 사람들에게 큰 복리를 제공한다. 이 책은 광범위한 자료와 체계적 분석을 바탕으로 대중 음악 산업에 대해 전반적으로 분석한 질 높은 연구 성과이다. 이 책을 통해 음악 산업 전반에 눈을 뜨게 됬다.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