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438)
복숭아나무 (27)
미국 사정 (22)
세계의 창 (25)
잡동사니 (26)
과일나무 (28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2025. 7. 6. 16:18

 

Charles Duhigg. 2012. The Power of Habit: Why we do what we do in life and business. Random House. 274 pages.

저자는 저널리스트이며, 이 책은 사람들의 습관이 작동하는 심리적 기제를 다양한 사례와 함께 이야기한다. 

인간의 두뇌는 최소한으로 일하려 한다. 오랫동안 반복하여 익숙해진 습관은 두뇌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러한 습관으로부터 벗어나기는 매우 힘들다. 사람들이 일상에서 하는 많은 일들은 습관에 의해 작동된다. 습관이 작동하는 기제는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특정 행위를 유발하는 사건이나 상태(cue), 습관적 행동(routine), 그러한 행동으로 얻게되는 보상(reward)이 그것이다. 사람들은 큐를 만나면, 행동을 하며, 보상을 얻는다. 

습관은 바꿀 수 있다. 습관을 고치려는 의지(will power)를 가지고 습관의 구성부분을 분석적(analytically)으로 접근해야 한다. 자신이 고치려고 하는 습관을 유발하는 큐와 보상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첫단계이다. 그러한 보상을 얻을 수 있는 다른 행동 찾아보기, 습관적 행동을 유발하는 큐를 의식적으로 피하기, 기존의 습관으로 얻는 보상을 대체할 다른 보상을 찾기, 등이 분석적 접근법이다. 이렇게 분석적으로 접근하면, 언제 어디서 무엇을 얻으려고 습관적 행동을 하는지 파악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습관적 행동을 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계획을 세워 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다. 습관을 고치려면, 대안 없이 중단할 수는 없으며, 새로운 습관으로 대치하여야 한다. 

습관은 개인의 행위 수준에서뿐 아니라, 조직이나 사회의 수준에서도 존재한다. 조직의 문화는 습관의 다른 이름이다. 사회의 규범 역시 습관과 유사한 속성을 가지고 있다. 조직이나 사회의 나쁜 문화와 규범을 바꾸려면, 새로운 좋은 것으로 대치하기 위해 체계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저자는 본인의 나쁜 습관을 깨닫고, 이것을 고치려고 하면서 이 주제를 본격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고 한다. 관련 주제의 연구서를 읽고 관련된 사람들을 인터뷰해서 이야기를 만들어낸 작품이다. 분석의 깊이가 얕으며, 이야기의 전개가 산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