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y Fishman and Tim Sullivan. 2016. The Inner Lives of Markets: How people shape them -and they shape us. Public Affairs. 182 pages.
저자들은 경제학자와 저널리스트이며, 이 책은 시장과 관련된 경제학계의 주요 아이디어들을 그것이 만들어진 배경과 적용된 사례들을 통해 설명한다.
아담스미스가 시장에는 보이지 않는 손이 작용하여 한정된 자원의 생산과 배분을 조정한다고 지적한 이래, 20세기에 들어와 구체적으로 시장의 작동원리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1950년대에 케네스 애로우 Arrow 는 시장의 보이지 않는 손을 수리적으로 증명하여 노벨상을 받았다.
이후 애컬로프 Akerlof 는 판매자와 구매자간의 정보의 비대칭 문제로 시장이 붕괴되는 현상을, 중고차 거래 시장의 예를 들어 제시하였다. 정보의 비대칭이 존재하는 시장에서는 질이 떨어지는 상품(lemons)이 질이 좋은 상품을 시장에서 몰아내기 때문에 결국 시장이 붕한다. 시장을 디자인하는 사람은 이러한 정보의 비대칭 문제에 대응하여, 구매자에게 추가적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장치를 덧붙임으로서 시장이 작동할 수 있게 한다.
노동시장에는 '신호 이론' signal theory 이 작동한다. 고용주는 구직자의 진실한 노동 가치를 파악하기 위해, 다양한 대리 지표를 사용하여 구직자의 노동 가치를 평가한다. 학력과 같은 자격증 credentials 은 바로 이런 대리적인 가치 지표로 활용된다. 광고주가 자사의 상품 광고에 비싼 비용을 지불하는 이유 역시 비슷하다. 광고주는 광고의 비싼 비용이라는 대리적 신호를 통해 상품의 고급성을 잠재 소비자를 설득한다.
'경매 시장' auction market 과 관련하여 경제학자 Vickery 는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경매에서 최고가를 써서 경매를 따낸 사람에게 차점자가 쓴 가격을 지불하도록 하는 디자인이다. 이렇게 하면, 경매에 참여한 사람 모두가 각자 자신이 생각하는 경매 대상의 가치를 주저없이 써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문제는 경매 참가자들 사이에 공모 conspiracy 가 있을 때, 이런 경매 방식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플랫폼 시장 platform market 은 서비스의 구매자와 공급자 사이에 자연 상태에서는 매칭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일 때 조성되는 시장이다. 시장에 참여하는 공급자와 구매자가 많을수록 시장의 가치가 높아지지만, 닭과 달걀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공급자가 적으면 구매자가 참여하려하지 않고, 구매자가 적으면 공급자가 참여하려 하지 않기 때문에, 둘을 동시에 만족시키면서 일정 규모 이상 시장에 참여하도록 시장 디자인을 하기는 쉽지 않다.
초중고생들의 학교를 배정하는 문제는, 구매자와 공급자 각각의 선호를 만족시키면서 어느 누구도 더 나은 선택이 발생하지 않도록 구매자와 공급자를 매칭하는 문제이다. 이는 의사 수련생과 수련 병원을 매칭하는 문제, 법률서기 지원자를 판사와 매칭하는 문제, 졸업 무도회에서 남학생과 여학생 참가자를 매칭하는 문제, 등과 유사하다. 이러한 문제는 "defferred acceptance algorithm"을 적용하여, 각자 선호의 우선순위에 맞추어 순차적으로 순연하여 선택하게 하는 방식으로 하여 집단적으로 최선의 매칭에 도달할 수 있다.
시장은 희소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만들어 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가격기구가 적용되지 않는 분야도 있다. 인간의 장기를 원하는 사람과 장기를 제공하는 사람을 매칭하는 문제가 그것이다. 장기의 수요공급을 시장 원리에 맡긴다면 희소 자원의 배분이 가장 효율적으로 되겠지만, 사람들의 윤리 관념이 인간의 장기에 가격을 매기는 것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실현되지 않는다.
자본주의적 이익, 착취, 불평등 현상을 낳지 않으면서, 시장기구에 의해 효율적으로 희소자원의 배분이 이루어질 수있다. 무료로 식량을 기증하는 기관과 푸드 뱅크를 연결시키는 일을 시장 기구를 통해 수행되게 하는 것이다. 시장기구와 점수 credit 시스템을 적용하여, 각 푸드 뱅크가 각자에게 가장 효율적인 방식으로 필요한 기증 식량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시장 기구가 반드시 불평등과 부정의을 낳는 것은 아니다.
시장은 사람들의 성향을 바꾸어 놓는다. 시장에 참가하는 사람은 공동체 관계의 참가자에 비해 이기적으로 행동한다. "죄수의 딜레마" 게임에서 보듯이, 시장 참가자 각각이 최대로 자신의 이익만을 돌보면, 전체의 복리가 감소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또한 시장은 참여자들 사이에 불평등을 낳는다. 시장은 적절하게 규율될 때에만 제대로 돌아간다. 부작용은 있지만, 그럼에도 시장은 희소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수행하는 데 다른 어느 시스템보다 낫다.
이 책은 경제학계의 혁신적 아이디어를 일반인이 알기 쉽게 설명한다. 이 책에서 언급한 경제학 이론은 대부분 많이 알려진 것인데, 이야기를 풀어내는 솜씨가 좋다.
'배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천히, 관계를 소중히 하며 살자 (0) | 2025.01.08 |
---|---|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 (0) | 2025.01.07 |
수학적 사고의 힘 (0) | 2024.12.29 |
음악의 심리적 효과 (0) | 2024.12.16 |
음악의 작동 원리 (0) | 2024.1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