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chard Sennett. 2006. The Culture of New Capitalism. Yale University Press. 197 pages.
저자는 사회학자이며, 이 책은 1980년대 이래 미국사회문화의 변화를 거시적으로 그린다. 세계화와 자동화의 흐름 속에서 다수의 미국인들은 불안한 상태이다. 일자리는 불안정하며, 사람들 사이의 관계는 얕으며, 자신의 일에 대한 진지함이 결여된 피상적인 삶을 살아간다.
1980년대이래 기업들이 효율성과 주주의 가치를 최우선으로 하면서, 일자리의 안정성과 인간적인 따뜻함은 사라졌다. 장기적인 관점과 계획은 단기적인 실적과 끊임없는 변화(perennial churning)로 대체되었다. 1960년대까지 미국 사회를 지배하던 강고한 관료체제의 인간성을 질식시키는 정체된 문화 대신에, 불안정하고 피상적인 문화가 그 자리를 차지하였다.
기업은 수시로 구조조정을 하면서 노동자의 일자리는 불안정해졌으며, 조직에 대한 노동자의 충성과 헌신 또한 사라졌다.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일의 자동화가 전개되고, 조직이 슬림화되고, 과거에 존재하던 많은 일자리가 해외로 이전하거나 없어졌다. 오랜 경험의 가치는 땅에 떨어졌으며,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것이 최고의 가치로 자리잡았다. 미국의 노동자들은 자동화와 함께, 개발도상국 노동자들과 능력 경쟁을 해야 하는 처지에 놓이게 되면서, 선진산업국에서 자신의 노동 가치가 쓸모없어 질 수 있다는 불안감을 품게 되었다. 수시로 조직과 사람이 바뀌기에 노동자들 사이의 관계는 얕으며, 조직의 보호가 사라지면서 노동자들은 각자 앞가림을 스스로 해야 한다.
오랜 경험을 통해서만 형성되는 장인적 기술 craftmanship 은 사라져버리고, 피상적이고 낮은 수준의 기술만이 남게 되었다. 일부 전문직을 제외한다면, 일 자체가 좋아서 깊이 파고 드는 식으로 몰두하는 것은 이제 어디서도 환영받지 못한다. 노동자들은 일에서 삶의 의미와 따뜻한 인간관계를 찾지 못하며, 단지 수동적인 소비자로 전락하였다. 이런 변화 속에서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사람들은 가족과 학교 등의 네트워크 덕분에 수시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며 풍요롭고 인간적으로 양질의 삶을 살 수 있는 반면,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은 전통적인 가족과 직장의 네트워크가 사라진 환경 속에서 외롭고 힘들게 살아야 한다.
이러한 비인간적인 사회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가. 저자는 1960년대 신좌파 New Left 대학생들이 관료제의 부조리에 저항했듯이, 지금의 미국인들도 이러한 사회에 저항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저자는 사회비평가로서 거시적인 사회비평을 할 뿐, 구체적인 문제의 진단과 해결 방법을 제시하지는 않는다. 엄밀한 사회과학적 분석이아니라, 인상적인 스케치에 머물고 있다. 20세기 후반 이래 세계화와 정보통신의 발달로 변화의 시기를 살고 있음은 분명하다. 저자는 사라져가는 과거의 삶의 방식을 그리워하면서 현재의 변화를 비판적으로 보고 있지만, 앞으로 어떤 삶의 방식이 다가올지에 관해서는 별반 아이디어가 없다. 앞으로 100년후에 사람들은, 마치 현재의 우리가 1800년대 후반 사회를 대하듯이, 21세기 초반의 사회에 대해 생각할 것이다. 100년후의 미래의 삶의 방식을 안다고 하면서 글을 쓴다면, 공상과학 소설처럼 보일 것이다. 19세기 중반 사람들이 20세기 후반에 어떻게 살지 어찌 알았겠는가?
'과일나무 > 배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배나무 책 목록 (50권), 2024.2.2. ~ 2025.1.19. (0) | 2025.01.19 |
---|---|
인간과 자연은 함께 진화한다 (0) | 2025.01.19 |
시장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0) | 2025.01.13 |
천천히, 관계를 소중히 하며 살자 (0) | 2025.01.08 |
미국 민주주의의 위기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