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412)
복숭아나무 (1)
미국 사정 (22)
세계의 창 (25)
잡동사니 (26)
과일나무 (28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정당화'에 해당되는 글 2건
2023. 6. 30. 11:05

Carol Tavris and Elliot Anderson. 2020(2007). Mistakes were made (but not by me): Why we justify foolish beliefs, bad decisions, and hurtful acts. Mariner books. 377 pages.

저자는 사회심리학자이며, 이 책은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는 이유를 사회심리학의 인지불일치 이론에 근거해 설명한다. 가족, 기억, 상담, 사법 기관, 편견, 갈등과 전쟁, 정치 등 다양한 영역에서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는 문제에 관하여 논의한다.   

1950년대에 페스팅거라는 심리학자가 제시한 인지 불일치 cognitive inconsistency 이론은 현재까지 다양한 사회관계의 문제를 설명하는데 적용된다. 이 이론의 핵심은, 사람들이 서로 상반되는 생각과 행동을 내적으로 동시에 수용하는 것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상반된 것 중 하나를 바꾸어 인지적 일치 상태로 만들려고 하는 성향이 있다.  이러한 성향은 진화의 산물로 보인다. 상반된 생각과 행동을 유지하는 것은 심리적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여 추진력을 떨어뜨리기 때문이다. 

자신이 잘못하여 상황이 어그러진 경우,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을 과소평가하거나, 상대나 주위 환경에 책임을 전가함으로서 자신을 정당화 justification 한다. 상대가 자신의 잘못을 지적할 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생각을 바꾸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자신의 잘못이 자신의 정체성, 즉 자신이 중요시 여기는 것과 밀접히 연관된 경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다는 것은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하는 것이 되기 때문이다.

처음에는 서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상이한 의견이나 행동이, 상대의 비판과 공격으로부터 자신의 입장을 방어하기 위하여 자신을 정당화하고 추가적 조치를 취하는 과정에서 점점 더 차이가 벌어져, 마침내 되돌리기 어려울 정도로 차이가 벌어지는 상태로 발전한다. 이것이 바로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못하는 메카니즘이다. 즉 처음에는 사소한 잘못이지만, 이것을 인정하지 않고 지내면서 자신의 입장을 옹호하다보면, 그것이 처음보다 훨씬 큰 문제로 발전하게 되어, 도저히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수 없는 상태에 빠지게 된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경우, 잃어야 할 것이 점점 커지기 때문이다. 

우리의 기억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나중에 기억을 연상할 당시의 상황에 맞추어 바뀐다. 사람들은 자신의 상황이 바뀌면 과거에 벌어진 것과 정반대로 기억하기도 한다. 과학적 검증 결과, 실제 발생한 것과 기억하는 내용 간에는 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의 상황에 맞추어 기억을 재구성하는 작업은 자신이 의식하지 않는 사이에 이루어진다. 사람들은 자신에게 유리한 부분만 기억하며, 불리한 부분은 아예 기억에서 지워버린다. 또한 사람들은 동일한 현상에 대해 서로 다르게 인지한다. 자신의 이익에 맞추어 동일한 현상을 다르게 인지하고 기억하기 때문에, 자신의 의견만 고집한다면 사람들 사이에 갈등은 피할 수 없다. 왜냐하면 사람들은 자신도 관여한 동일한 현상에 대해 상대방이 자신의 이익에 맞게 의도적으로 진실을 외곡하고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아동에 대한 성폭력을 적발하는 과정에 상담심리분석이 많이 활용됬다. 상담심리사들은 피해 아동에게 피해 상황을 진술받기 위해, 아동의 억압된 기억을 떠올린다는 구실로 유도 신문을 하였다. 아동들이 이러한 유도 신문에 계속 노출되게 되면 없는 사실도 있는 것으로 생각하게 되어, 무고한 사람이 많이 피해를 당하는 결과를 초래했다. 이러한 상담심리 기법이 잘못된 것임을 과학적으로 입증했음에도, 여전히 적지 않은 상담심리사들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유사한 상담 기법을 계속 적용하고 있다. 그들이 자신의 상담분석기법이 잘못된 것임을 인정하면, 지금까지 그들이 해왔던 행위가 모두 부정되고, 자신의 직업을 잃고, 피해자에 대한 보상 문제를 떠않게 되기 때문이다.

사법기관에서 피고를 취조할 때, 그가 범죄를 저지른 사람이라고 가정하고 취조한다. 이는 형이 확정될 때까지는 무죄를 상정한다는 사법원칙 benefit of doubt 과는 정반대의 관행이다. 그들은 범행을 저지른 사람에게 범죄 행위를 자백받는 것이기 때문에 강압적 방법을 써도 도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강압적 방법으로 자백을 받는 경우, 그 자백은 대부분 진실과 거리가 멀다는 과학적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사법기관에서는 강압적 방법을 애용한다. 형사는 일단 자신이 범인을 지목하면 그가 범인이라고 확신하기때문에, 자신의 확신과 어긋난 증거는 소홀히 하며, 심지어 정반대의 결정적 증거가 나와도 이를 부정한다. 그러한 증거에는 오류가 있다거나, 혹은 중요한 것이 아니라고 폄하하면서, 자신의 잘못을 정당화한다. 

도날드 트럼프를 지지한 공화당원들은, 트럼프가 대통령이 된 후 행한 그의 비도덕적 행위와 무능에 대해 눈을 감는다. 그의 잘못을 지적하는 사람들이 거짓되게 그를 모함을 하고 있다거나, 설사 그가 잘못이 있다고 해도, 이는 그가 완벽한 사람이 아니라는 사실에 불과하다고 과소평가한다. 혹은 민주당이 집권했을 때보다는 그래도 낫지 않느냐고 자위한다. 특히 이익이 걸려 있는 단체나 기독교 신자의 경우, 트럼프가 인간적으로 비난받을 사람이라고 해도, 그가 추진한 법안이 자신의 이익에 부합할 경우, 그의 부정적 인간성을 외면한다. 트럼프 정부에서 일하는 공직자들은, 그가 무능하고 도덕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지만, 자신의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트럼프에게 아첨하거나 그의 충복이 되기를 주저하지 않는다. 트럼프에게 문제가 있기 때문에, 자신이라도 자리를 지키고 일을 하여 나라의 운영을 책임져야 한다고 정당화한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어떤 경우에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까? 자신의 잘못으로 인하여 벌어진 피해가 부정할 수 없이 명백하고, 피해자의 상처에 감정적으로 크게 공감할 경우, 드물지만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사람이 발생한다. 이들은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다시는 그러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노력한다는, 즉 잘못으로부터 교훈을 얻는 선순환 사이클로 진입하게 된다. 실수와 잘못을 거듭하면서, 무엇이 문제인지를 파악하여, 결국 좋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은 과학의 강점이다. 사람도 자신의 잘못을 반추하고,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괴로워하고, 그러는 과정 속에서 교훈을 얻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다.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고 정당화하거나, 감추고 잊어버리려 한다면, 유사한 상황에서 잘못을 반복할 위험은 제거되지 않으며, 자신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다.

자신의 잘못을 자신의 정체성과 연결시키 않으려고 할 경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할 수 있다. 착하고 유능한 사람도 잘못을 저지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미국에서는 잘못을 저지르는 것은 무능하고 어리석은 부정적 정체성과 연결되기 때문에, 잘못을 저지르는 행위와 정체성을 분리해서 생각하기는 쉽지 않다. 특히 잘못이 심각한 경우, 피해가 큰 경우,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다는 것은, 보상을 해야 하는 부담 뿐만 아니라, 사회로부터 무능한 사람으로 찍혀, 자신의 지위를 뺏길 위험을 각오해야 한다. 경쟁적인 사회에서, 자신의 무능을 드러내는 것은, 주위 사람들이 늑대 같이 달려들어 자신을 끌어내리려 할 것이기 때문이다.  경쟁사회에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는 것은 위험한 행위이다.

저자들은 단단한 사회심리학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서술하고 있다. 그들의 주장을 다양한 상황에서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포괄하는 폭이 넓다. 살면서 주위에서 흔히 보고, 누구나 스스로 경험한 적이 있기 때문에 이해가 쉽다. 이것이 3개정판까지 나온 이유이다. 이 책을 읽고 나서, 그렇다면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게 하는 방법은 없는 것인가 하는 질문을 하게 된다. 그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한 것으로 제시한 사례는 매우 제한적이며 설득력이 크지 않다. '결국 이것이 인간의 한계란 말인가' 하는 탄식이 나온다. 사람들이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면, 그들이 경쟁에서 패하거나 죽어서 무대에서 사라져야만 잘못된 관행이 고쳐질 수 있다. 이것이 역사적으로 개선이 더디고 힘든 이유일 것이다. 잘 쓴 책이다. 

2020. 3. 12. 16:14

Rachel Sherman. 2017. Uneasy Street: the anxieties of afflu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37 pages.

저자는 사회학자로 심층 인터뷰를 통해 부유한 사람들의 생활과 생각을 읽는 연구를 한다. 부유한 사람들은 자신의 부와 부유한 생활에 대해 불편한 감정(anxiety)을 안고 산다는 것이 그녀의 결론이다. 그녀가 인터뷰한 사람들은 뉴욕시에살며 년소득이 최소 5억이 넘고 재산이 수십에서 수백억에 이르는 상위 1%이내에 드는 사람이다.

부유한 사람들은 어디에 관심의 지향을 두고 있는지에 따라 두 부류로 나뉘는데, 자신보다 상위에 있는 사람들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부와 생활 방식이 특별하지 않으며 보통이라고 생각한다. 이들은 자신의 생활이 더 부자인 사람들보다 못하다는 점을 의식하면서 이를 마음에 걸려한다. 반면 자신보다 하위에 있는 사람들에 주목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부와 생활이 중류층과 크게 다르다는 점을 의식한다. 이들은 자신이 부유하다는 것을 의식하며 돈으로부터 자유로운 것에 감사한다. 후자는 주로 중류층 배경으로부터 상승한 경우에 많다. 두 집단 모두 자신의 엄청난 부에 대해 불편한 감정을 가지고 있으며, 자신의 부를 드러내거나 이를 암시하는 어떤 상황도 회피하려 한다. 그 결과 이들은 자신과 계급적으로 이질적인 사람이 자신이 고용한 사람이 아닌한, 이들과 접촉하는 것을 불편해 한다.

부유한 사람들은 자신의 부가 정당하다는 것을 자신과 상대에게 설득하는데 노력을 많이 들인다. 미국은 평등주의 가치관이 뿌리 깊고, 근래에 불평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므로, 자신의 부와 삶의 방식에 대해 사회적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하다. 자신의 부와 생활이 '열심히 노력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한다. 부모로 부터 부를 물려받은 경우, 이러한 이유가 통하지 않지만 여전히 자신은 열심히 바쁘게 살고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부자들은 자신의 소비생활이 '보통'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한다. 가족의 기본적인 필요를 충족하는 데 돈을 쓴다는 점을 강조한다. 다른 사람들보다 돈을 많이쓰기는 하지만, 여전히 삶에 꼭 필요한 것을 사는 데 쓴다고 상대와 자신을 설득한다. 물론 그들이 삶에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기준은 보통 사람들과 다르지만.

부자들은 자신이 운이 좋았으며 혜택받은 삶을 산다는 것을 항시 의식한다. 주위에 보통 사람들의 감정을 거슬리지 않도록 하는 데 주의를 기울인다. 부가 티나게 보이지 않도록 하며, 시기심을 유발하는 행위를 피하며, 일하는 사람을 대등하게 대접하려고 의식적으로 노력한다. 가능성은 적지만, 자신의 부가 없어질 수 있고, 높은 보수를 받는 직장을 언제 그만둘지 모른다는 생각을 어렴풋이 하고 있다.

부자들은 자신의 자녀가 다양한 경험을 하도록 하면서, 자신들의 생활이 특별하다는 점을 인식시키고 싶어한다. 자신의 자녀가 보통 사람들의 삶에 관해 알도록 하고 싶어하지만, 결국 부자들이 다니는 사립학교에 보내고 부자 자제들의 동질적인 그룹에서 성장시킨다. 부가 가져오는 이점이 자녀의 성장과 사회 진출에 플러스가 되도록 하는데 노력한다.

부자들은 남에게 베풀어야 한다고 기본적으로 생각한다. 가까운 사람들에게 기회가 닿을 때마다 주도적으로 밥을 사려 하며, 대다수가 자원봉사나 자선단체 활동을 한다. 그러나 사회의 불평등이나 사회악을 고치는 데 개인이 할 수 있는 일은 없다고 생각하기에 그들의 돕는 활동은 그들의 삶에서 주변적인 위치에 머물러 있다. 그들의 남을 돕는 활동은 대체로 자신들에게 간접적으로 이익이 되는 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자녀가 다니는 학교에서 자원봉사를 한다거나, 자신이 졸업한 학교나 지인이 참여하는 단체에 기부하는 식이다. 그들은 한결같이 부자에게 세금을 더 걷는 정책에 반대한다.  

부자 가정의 여성들은 자신의 부유한 생활이 배우자의 돈에 의지한다는 것을 의식하며 산다. 그녀의 남편은 부인의 소비생활을 통제하며, 그녀의 집안을 챙기는 일은 남편에게 대단하게 가치를 인정받지 못한다. 부인은 자신의 개인적인 용도의 소비는 남편에게 감추거나 낮추어 말한다. 부인이 자신의 물려받은 유산으로 부자 생활을 하거나, 혹은 자신의 직업 소득이 남편보다 높은 경우에만 부인은 자신의 소비 생활에 대해 남편의 통제를 받지 않는다.

이 책은 부자들의 삶과 생각을 엿볼 수있는 좋은 기회이다. 인터뷰 자료를 많이 인용하기에 반복적인 부분이 많아 읽다보면 지루하다. 부자집 가정의 부인을 주로 인터뷰 했기에, 실제 권력을 가지고 있는 남성 가장의 생각이 반영되어 있지 않아, 반쪽짜리 연구이다. 부자집 가정의 부인은 이들의 가정에서 상대적으로 약자이므로, 부가 수반하는 권력을 부수적으로만 누리고 있다. 부자들이 말로 드러내는 생각과 실제의 행위에 차이가 클 것이라는 점을 짐작케 한다. 부자들은 자신의 엄청난 부에 불편해하기는 하지만 그것을 지키는 데 열심이기 때문이다.

 

'과일나무 > 감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상층이 문제다.  (0) 2020.03.19
임시직의 세상이 오고있다  (0) 2020.03.18
진화론을 인간사에 적용한다면  (0) 2020.03.11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꾼다  (0) 2020.03.07
군중의 지혜  (0) 2020.03.04
prev"" #1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