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tt Ridley. 1993. The Red Queen: Sex and the evolution of human nature. Harper. 349 pages.
생물학의 연구 성과를 토대로 인간의 성(sexuality)의 진화를 설명한 대중 과학서. 동화에 나오는 Red Queen의 비유를 사용하여 진화의 과정을 설명하는데, 이는 창과 방패의 비유와 유사하다. 종의 경쟁에서 한쪽이 앞서려고 변화하면 그에 맞추어 상대도 변화하여 따라맞추는 과정이 계속이어지는 과정이 진화이다.
생물계에서 암컷과 수컷간 선택하고 선택되기 위한 경쟁은 양쪽 모두를 변화시킨다. 성적인 선택(sexual selection) 경쟁에서 같은 성의 경쟁자들보다 조금이라도 우위에 올라서게 하는 형질은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반면 불리한 형질은 후손을 남기지 못하기 때문에 후손에게 이어지지 못한다. 생물의 많은 형질은 오랜 세월 동안 성적인 선택이 중첩되어 만들어진 것이다. 같은 종의 상대 성에게 선택되기 위한 경쟁은 물리적인 생존을 위한 경쟁(natural selection)과 일치하지 않는다. 예컨대 숫공작의 아름다운 날개는 암공작에게 선택되기 위한 경쟁이 낳은 산물이지만, 이것은 수컷의 물리적 생존 확율을 낮추는 요소이다.
대부분의 생물은 왜 무성생식이 아니라 암컷과 수컷으로 구분된 유성생식을 하여 후손을 만들까? 유성생식이 가져오는 유전자의 다양성 덕분에 병원균과의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기 때문이다. 무성생식은 후손을 빠르게 증식시키는 이점은 있지만 부모와 자손의 유전자가 동일하다는 약점이 있다. 반면 유성생식은 암컷과 수컷이 교배를 해야만 후손을 만들기 때문에, 적절한 섹스 상대를 찾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야 하는 단점은 있지만 후손에게 유전자의 다양성이 확보된다.무성 생식으로 부모와 그 후손이 모두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면, 만일 이 생물체의 면역력을 뚫는 병원균 유전자가 나타날때 피해를 면할 수없다. 반면 유성생식으로 후손에게 유전자의 다양성이 확보되면, 병원균의 돌연변이로 후손 모두 피해를 입을 가능성은 적다.
어떤 생물체가 일부일처에서 난교 사이에 존재하는 다양한 짝짓기 행태 중 어느 것을 택하는가는, 군집해 사는지 혹은 각자 떨어져 사는지, 후손의 양육에 수컷이 간여하는지 혹은 암컷이 전적으로 혼자 담당하는지에 달려 있다. 모든 생물체는 자신의 유전자를 후손에게 물려주는 가능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화하였다. 군집해 살면 엄격한 일부일처는 어려우며 여러 상대와 섹스를 하여 자신의 유전자를 퍼뜨리는 행태가 자리잡는다. 후손을 양육하는 일을 암컷이 전적으로 담당하면, 암컷은 여러 수컷과 섹스를 하는 것보다 적은 수의 강한 수컷을 골라 섹스를 하는 것이 유리한 반면, 수컷은 가능한한 여러 암컷과 섹스를 하는 것이 유리하다. 인간은 일부일처를 기본으로 하며, 보조적으로 결혼 관계 밖의 상대와 바람을 핀다. 인간의 오랜 양육기간 때문에 여성은 자신과 자녀의 부양을 책임질 남자가 필요하며, 남성 역시 상대 여성이 다른 남자와 바람을 피지 않고 오랫 동안 자신과 함께 하는 것이 자신의 유전자를 후손에게 남기는데 유리하다. 남자는 기본적으로 일처 다부의 성향을 지니며, 여자는 일부일처의 성향을 지닌다.
남성은 여성에게서 육체적인 아름다움을 찾고, 여성은 남성에게서 부와 지위를 찾는다. 여성의 육체적 미는 건강한 후손을 만드는데 중요하기 때문이며, 남성의 부와 지위는 오랜 기간 동안 자녀를 양육해야 하기 때문에 여성에게 중요하다. 남성과 여성의 역할의 차이는 남성과 여성의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낳는다. 남성은 공격적이고 공간감각이나 수리력이 높은 반면, 여성은 남을 잘 이해하고 교류하는 사회성과 언어능력이 앞선다. 남성은 낯선 여자와도 섹스를 쉽게 할 수있지만, 여성은 다양한 남성과 섹스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는다.
인간이 생물계에서 독보적으로 두뇌가 크고 지력이 발달한 이유는 무엇보다 배우자를 선택하고 선택받는 게임에서 인간관계를 읽는 기술이 고도로 요구되기 때문이다. 생물의 생존의 목적은 자신의 유전자를 후손에 퍼뜨리는 것이므로, 인간의 가장 대표적인 형질인 지력은 가장 우수한 배우자를 차지하는 게임에서 승리자가 되려는 노력이 만들어낸 것이다.
동물계의 다양한 사례를 통해 인간의 성질을 유추해내는 작업은 복잡하다. 실험을 통해 입증하기보다는 논리적으로 유추한 가설에 대해 반박에 반박을 거듭하기에 논리를 쫒아가기가 버겁다. 이 작가의 스타일은 많은 사례와 논쟁을 계속하여 소개하고, 서술을 맛깔나게 하기 위해 이중부정과 이중 비교을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이해하는 것이 쉽지 않다. 과학적 사실을 직설적으로 명쾌하게 설명하기보다는 재미있게 서술하려고 이야기를 굴곡지게 하는 약점은 있지만, 흥미로운 주제와 관련된 상반된 논쟁을 모두 검토하는 부지런함은 살만하다. 인간의 성과 관련되 생각할 수있는 모든 주제를 건드린다. 이야기의 대부분은 동물의 행태에 관한 것이지만, 이를 통해 인간의 성에 대한 이해를 깊이 해주는 것은 분명하다.
'과일나무 > 사과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화의 원리 (0) | 2020.01.16 |
---|---|
미국의 헤게모니는 얼마나 지속될까? (0) | 2020.01.12 |
오늘의 문제에 대한 경제학자의 조언 (0) | 2020.01.07 |
대양에서 경도를 측정하는 법 (0) | 2020.01.04 |
어떻게 새로운 실리콘 밸리를 조성할 수 있을까? (0) | 202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