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LOG main image
분류 전체보기 (430)
복숭아나무 (19)
미국 사정 (22)
세계의 창 (25)
잡동사니 (26)
과일나무 (285)
Visitors up to today!
Today hit, Yesterday hit
daisy rss
tistory 티스토리 가입하기!
'바다'에 해당되는 글 4건
2025. 3. 10. 16:37

DK 바다 편집위원회. 2008. 바다: 지구 최후의 미개척지, 바다의 모든 것을 담은 대백과사전. 사이언스북스.487쪽.

이 책은 영국의 Dorling Kindersley Ltd 출판사에서 만든 백과사전이다. 해양에 대한 물리 화학적 메카니즘, 해양 생물, 해양지도의 세부분으로 되어 있다. 해양에 대한 물리화학적 메카니즘과 지구과학적 설명이 흥미로우며, 해양 지도를 찬찬히 훑어보면 새로운 세계를 보는 듯하다. 두번째 파트인 해양 생물이 책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나, 이 부분은 생물체에 대한 단편적인 설명이 대부분이다. 

이 책에서 제시하는 그림과 텍스트를 시간을 두고 찬찬히 읽으면서, 육지동물인 인간은 바다에 대한 지식이 미약하다는 것을 느끼며, 새로운 세계를 발견하는 듯한 기분이 들었다.

'복숭아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협상의 기술  (0) 2025.04.01
서구 문명은 왜 앞서게 되었나  (0) 2025.03.24
20세기 유럽의 경험  (0) 2025.03.10
의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0) 2025.02.28
감정의 힘  (0) 2025.02.20
2024. 8. 19. 14:38

김경렬. 2009. 화학이 안내하는 바다탐구. 자유아카데미. 463쪽.

저자는 화학 해양학자이며, 이 책은 화학 지식을 동원하여 바다를 탐구한 결과를 설명한다. 바다물의 화학적 구성, 바닷물의 순환, 깊이에 따른 바다의 특성 차이, 바다의 지형, 바다가 기후에 미치는 영향, 조석과 파도, 등이 주요 내용이다.

화학 해양학에서는 온도와 염을 중심으로 바다를 분석한다. 깊이 및 지역에 따라 온도와 염에 차이가 있다. 바다는 깊이에 따라 표층과 중층 및 심해로 나눈다. 햇빛이 투과되는 표층의 깊이는 100미터도 안된다. 이 표층에서 대부분의 생명 활동이 전개된다. 1,000미터 이하의 심해에는, 0~2도의 매우 차가운 물이 적도에서부터 극지방까지 동일한 분포를 보인다. 바닷물에 녹아있는 염은, 소금의 구성 성분인 염소와 나트륨이 대부분(86%)을 차지하며, 이외에 황산, 마그네슘, 칼슘, 칼륨 등이 있는데, 지역에 관계없이 전세계적으로 염의 구성 비율이 동일하다.

바다는 매우 깊다. 전세계 바다의 평균 깊이는 3,600미터에 이른다. 육지의 연장인 대륙붕은 200미터 깊이 이하의 얕은 바다이며, 대륙붕을 넘어서면 가파른 경사를 지나 심해의 평탄한 해저가 넓게 펼쳐진다. 평탄한 해저 곳곳에는 깊은 협곡인 해구와, 화산으로 솟아오른 해령이 존재한다. 지구물리학 이론인 판구조론으로 바다의 지형을 설명할 수 있다. 대서양에는 남에서 북으로 길게 해저 산맥이 존재하는데, 이는 아메리카 판과 유라시아판이 서로 갈라지면서 벌어진 틈으로 마그마가 분출하여 만들어졌다. 지구의 판과 판이 만나는 지점에 매우 깊은 해구가 형성된다. 밀도가 높은 해양판이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육지판 아래로 들어가면서 해구를 만들고 지진과 화산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심해에 대한 탐사가 이루어진 것은 최근의 일이다.

바닷물은 수평으로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순환한다. 표층의 바닷물이 심해로 내려가서 전세계 바다의 밑 바닥을 한바퀴 돌고 표층으로 올라오는 순환을 반복한다. 표층의 바닷물이 심해로 내려가는 입구가 대서양의 북쪽 끝에 있으며, 이곳에서 심해로 내려간 바닷물은 대서양 남쪽을 지나 인도양 바닥을 거쳐 태평양 북쪽에서 표층으로 솟아 오른다. 이러한 순환의 중간인 대서양 남쪽과 인도양에서 일부가 표층으로 용출한다. 이러한 전지구적인 수직 순환을 한번 하는데 1,000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된다. 일반적으로 해류라고 지칭하는 수평 순환은 표층에서만 일어나며, 심해는 매우 서서히 이동한다.

태평양 동쪽의 표층 온도의 이상 변화로 인해 태평양 서쪽 지방에서 기상 이변이 발생한다. 엘리뇨는 페루 연안의 이상 고온을, 라니냐는 그 반대 현상을 지칭한다. 이러한 변화는 수십년을 주기로 발생하는데, 원인은 모른다. 근래에 전지구적으로 표층 온도가 상승하면서 지구 온난화의 우려가 커졌다. 해양 온도의 변화는 지구 역사에서 주기적으로 발생했는데, 근래에 관찰되는 해양 온도의 상승은 1,800년대 이래 산업화와 함께 특이하게 빠른 속도로 전개되고 있다. 

바다는 인류의 삶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에도 바다에 대한 체계적 이해는 달 탐험보다 더 늦게 이루어졌다. 이 책은 전문 연구자의 서술로 바다에 관해 깊이있는 지식을 전달한다. 바다에 관해 알려진 지식뿐만 아니라, 어떤 과정을 통해 새로운 발견이 이루어졌는지, 연구 방법과 계기를 설명한 것 또한 흥미있게 읽었다.

'과일나무 > 배나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혁명의 시대  (0) 2024.09.02
강대국은 왜 공격적으로 행동하는가  (0) 2024.08.21
인터넷과 AI 가 지배하는 사회  (0) 2024.08.11
똑똑하면 무슨 쓸모가 있나  (0) 2024.08.05
인간 관계망의 영향력  (0) 2024.08.01
2023. 3. 6. 13:50

스테판 허친슨 외 5인 (강대훈 옮김). 2011. 아주 특별한 바다여행: 지구 최후의 미개척지. 시그마북스. 231쪽.

저자는 지구과학자이며, 이 책은 바다의 물리적 특성과 생물 자원을 서술한 뒤, 전세계 바다를 네 개로 구분하여 각 대양을 상세히 다룬 도감이다.

바다가 진화하는 과정, 파도와 조수작용, 기후 작용, 해저 지형, 바다 생물, 바다의 광물 자원 등, 바다에 관련된 모든 것을 과학적 원리를 통해 설명한다. 이어 극지바다, 대서양, 인도양, 태평양의 구석구석의 해저 지형과 해류 지도, 특징적인 생태계를 그림과 함께 보여준다.

이 책은 틈날 때 마다 조금씩 읽으면서 즐거움을 느끼는 도감이다. 그림과 글을 천천히 훑어보며 육지 동물인 인간이 잘 알지 못하는 미지의 세계를 탐험하는 느낌을 느낀다. 바다에 관한 외국의 전문용어에 적당히 대응할 말이 없는 한글로 번역하느라 의미전달이 불확실한 부분이 적지 않지만, 그림을 천천히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웬만큼 이해가 된다. 지난 두달 동안 피곤할 때마다 세네쪽씩 야금야금 읽으면서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 

2020. 1. 4. 15:15

Dava Sobel. 1995. Longitude: The tru story of lone genius who solved the greatest scientific problem of his time. Bloomsbury. 175 pages (pocket edition).

대중 과학서를 저술하는 작가가 기존의 역사적 사실을 재구성하여 흥미있게 풀어낸 책. 17세기 초까지 뭍이 보이지 않는 바다에서 경도를 아는 것은 불가능했다. 항해하는 방향과 거리를 기록하여 이를 바탕으로 경도를 추측하였는데, 이 방법은 험한 바다에서는 신뢰할 수 없다. 배의 위치를 모르기 때문에 사고가 흔히 발생하며 많은 사람이 죽었다. 16세기 대항해 시대에 경도를 측정하는 문제는 그 시대에 긴급히 풀어야 할 과제였다. 18세기 초반 영국 국왕은 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에게 현재 가치로 2만 파운드, 한화로 140억원 상당의 상금을 걸었다. 그시대에 유럽의 과학자와 기술자들은 모두 이 문제를 푸는데 매달렸다.

천체를 관찰하여 현재의 위치를 알아내는 방법이 가장 유력한 해법으로 제시되었다. 목성의 위성들이 목성을 회전하는 주기를 관측하거나, 달과 태양 및 다른 별과의 거리를 관측하여 현재의 위치를 측정하는 일에 그 당시에 유명한 과학자들이 매달렸다. 이 방법은 어느 정도 오차를 가지고 근접한 측정 결과를 산출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별자리를 측정하는 데 노력을 많이 요하며,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하며, 계절과 시간과 위치에 따라 복잡한 보정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실용성이 떨어진다.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 이외에 시계를 이용하여 위치를 측정하는 아이디어도 있었다. 지구는 360도에 24시간으로 구성되므로, 1시간의 차이는 15도의 차이에 해당한다. 기준 지점의 시간과 현재 위치의 시간을 비교하여 차이를 구하면 위도를 알 수 있다. 현재 위치의 시간을 아는 것은 비교적 쉽다. 지구 어디에서나 해가 정남에 위치하는 때, 혹은 해가 수평선으로부터 가장 높은 지점에 도달한 때가 정오이다. 기준 지점에서 맞춘 시계를 계속 가지고 다니면 기준 지점의 현재 시간을 알 수 있다. 문제는 그 당시의 시계는 정확도가 높지 않았으며, 진자를 이용한 시계는 계속 흔들리는 배위에서는 무용지물이라는 점이다.

존 해리슨이라는 무명의 기술자는 1730년에 태엽이 풀리면서 작동하는 시계를 처음으로 발명하였다. 그러나 시계를 이용하여 경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그당시 학계를 지배하던 사람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방법을 선호했기 때문에 정당한 계측 방법으로 인정되기까지 수십년을 기다려야 했다. 정부의 경도 측정 위원회를 장악한 사람들은 해리슨의 시계를 검증하는 것을 방해하고 새로운 조건을 내걸면서 지연시켰기 때문이다. 해리슨은 이러한 역경에도 불구하고 계속 개량을 거듭하여 그의 아들대에 이르러 마침내 정당하고 실용적인 측정방법으로 인정되고 상금을 받았다.

이 책에서 존 해리슨은 무명의 배경 출신으로서 자신의 기지와 불굴의 의지로 홀로 권력과 맞서 싸워 승리하는 영웅으로 그려진다. 가벼운 읽을 거리다.

prev"" #1 next